빽넘버 - 임선경 : 죽음을 예지자의 가볍지만 가볍지 않은 드라마 빽넘버 - 임선경 작,2015년 대한민국 전자출판 대상 `대상` 수상 제목이 주는 무게의 가벼움(?)에 읽기를 꺼렸었으나, 꽤 '베스트셀러'임을 인지하고 대여하게 만든 첵이다.'백넘버'도 아닌 '빽넘버'라니... 꼭 "빽" 이라고 경음을 강조해야 했을까 하는단순히 스포츠선수의 등번호가 아닌 다른 의미의 번호임을 강조하고 싶었을까?아니면 단순한 제목이 주는 책의 마케팅이 약화됨을 고려한 경음화인걸까. 어쨋거나 오컬트적인 요소가 가미되어 비현실적인 소재가 메인 흐름이다. 이 소설은 생각보다 빠르고 흥미진진하게 읽힌다,대단한 철학이나 논리 분석을 필요로 하지 않으며 인문학적 소양을 시험에 들게 하는 요소도 없다. 그야말로 TV 드라마를 보듯이 쉽게 쭉쭉 읽기 쉽다는 이야기다.맞다. 임선경작가가 본래 TV드라마.. 더보기 서른의 반격 - 손원평, 평범한 루저들의 작은 반란과 인생의 활력드링크제! 서른의 반격 - 손원평 작제5회 제주4.3평화문학상 수상작 손원평 작가의 '아몬드'를 먼저 읽고 나서, '손원평 작가 작품을 좀더 읽어봐야겠다'고 생각이 들어도서관에서 예약후 장기 대기한 후에야 대출할 수 있었던 책이다.생각보다 많은 기대를 하고 읽기 시작했다. 한편 이 소설은 2015년 3월에 초고가 완성되었고, 지난 3월 제5회 제주4?3평화문학상 수상작 발표 당시의 제목이었던 『1988년생』을 『서른의 반격』으로 바꾸어 출간한 것이다. 다 읽고 보니 이전 제목들보다 훨씬 적합한 제목이 아니었나 생각한다. 그저그런 평범한 서른살짜리 사회인이 웬지 불합리해 보이는 세상을 향해 던지는 이유있는 투정 스토리대단한 영화처럼 세상을 바꾸거나 자신의 혁신을 이루어내는 대단한 해피엔딩은 없다. 하지만 세상을 향해.. 더보기 봉순이 언니 - 공지영 : 누구나 쉽게 읽을수 있는 그 시절의 드라마 같은 소설 봉순이 언니 - 공지영 작 왜인지 이 책은 읽어야 할 책이라고 생각하고 있었고,그때그때 알수 없는 게으름으로 읽지 못했던 책 중 하나.이 번에 밀어둔 숙제를 하는 느낌으로 며칠에 걸쳐 루즈하게 읽어버린 책 어릴적에는 박완서 작가의 성장 소설류가 정말 와닿게 읽은 책이었는데이번에 읽은 공지영 작가의 봉순이 언니는 성장소설임에도 그 느낌이 약간 달랐다.아니 달랐다기 보다는 성장소설이 주는 포근함이 덜했다고나 할까. 아니면 자전적 소설이 주는 방어적 기질때문인걸까 싶기도 하고 애니웨이.이런 해방후 근대시절을 배경으로 하는 현대의 성장소설이 주는 따듯한 감흥은 확실히 독자를 매료하는 맛이 있다.공지영도 그 것을 간파했기에 그런 소설을 기획한 것일 테고,본인이 그 당시에도 최상류층만 누렸다는 '가정 식모'와 '자.. 더보기 당신의 별이 사라지던 밤 - 서미애, 이 책은 미스터리 추리 소설이 아니다. 당신의 별이 사라지던 밤 - 서미애 최근 각 도서 사이트의 베스트셀러에 꾸준히 올라와 있던 책이길래 호기심 있게 쳐다보다가 읽게 되었다. 가족을 잃은... 아니 하늘이 준 제명대로 늙어서 죽지 못한 가족을 떠나보낸 사람의 가슴속 고통이 어떨지아무도 모른다. 나도 모른다. 나에게 대입하여 생각하기 무섭지만 정말 내가 그렇게 된다면, 지옥보다 더한 고통과 슬픔이 되겠지..그런 고통을 받은 사람들이 너무나 많다. 살아도 먹어도 눈을 떠도 눈을 감아도 그 어떤 짓을 해도 그 고통과 허함에서 벗어날 수 없는그야 말로 살아도 산게 아닌 사람들의 고통을 누가 차마 이해한다고 할 수 있을까. 그런 고통을 가진 한 남자가 주인공이다.흔히이 책을 '미스터리 추리물'로 오해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그렇게 이 책을 잃어서는 이.. 더보기 두근두근 내인생 - 김애란, 자라서 꼭 누군가의 슬픔이 되렴. 두근두근 내인생 - 김애란 내가 '비행운'에 이어 읽은 김애란의 두번째 작품이다.이 작품을 시작으로 앞으로 '김애란'의 대표작들을 몇개 더 읽어볼 요량이다. 그녀의 작품이 다양하지만,너의 여름은 어떠니(2010, 김유정문학상), 침묵의 미래(2013, 이상문학상), 바깥은 여름(2017,동인문학상)정도를 후보군으로 두면 어떨까 싶다. 내가 읽은 것은 겨우 그녀의 두 편 뿐이지만,이제서 느낌은 그녀의 스토리가 과하지 않음에 편안함을 느낀다는 것이었다. 소설이나 영화가 가지는 극적이고 과도한 씬들이 없이 조용히 조용히 독자의 곁에 다가가는 동네 옆집 이야기처럼 말이지나는 느꼈다. 그런 이야기가 실제로 내 옆에서 조용히 아무도 모르개 있었던 이야기인것처럼 말이지'비행운'을 읽고 뭔가 뜻드미지근한 느낌의 감정을.. 더보기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다음